메모리 상주 에 해당하는 글 : 1 개

   컴퓨터 조립에서 소프트웨어의 설치 운영까지를 마스터한 필자가 미력하나마 당시의 기억을 더듬어 컴퓨터 응급 조치 요령 몇가지를 소개 하려 한다. 당시나 지금이나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의 기본적인 운영체제는 똑같기 때문에 지금 여러분의 컴퓨터에 적용해도 별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먼저 이를 알기 이전에 컴퓨터 하드웨어적인 구성부터 살펴보자.


 컴퓨터의 본체와 주변 장치들인 입력장치, 출력장치들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대부분 컴퓨터의 이상 발생은 소프트 웨어 적인 것이며, 하드웨어적인 이상은 지극히 드물다는게 필자의 경험적 소견이다. 다시말하자면, 하드웨어라는것은 외적으로 심한 충격이나 전기적인 쇼트등이 아니면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말이다. 대부분 전자기기들 처럼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것도 전자기판이다. 이것은 물에 잠기거나 전기적 쇼트, 충격에 의한 파손등이 아니면 절대로 고장날 수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다만 이러한 경우는 있다. 확장슬롯에 비디오 컨트롤러, 디스크 컨트롤러등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사이에 먼지등이 끼어서 미세한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기판을 교환한다든지, 또 다른 장치를 교환해야 하는경우는 없다는 말이다. 하드웨어적인 장치의 교환은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할때 뿐이라는게 필자의 생각이다. 자 이제 컴퓨터의 이상 발생의 정도에 따른 조치 방법들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간단하게 몇가지 살펴 보았는데, 위의 몇가지 사실들만 잘 기억하고 있어도 웬만한 이상에 대한 대처 능력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 다음에 필요한 것은 연결 단자들에 대한 접속상태를 점검해 보는 것이다. 앞서서 얘기했지만, 컴퓨터는 전자기기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만질때는 전원을 끄거나 전원에서 콘센트를 아예 빼놓고 점검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전원이 들어간 상태에서 접속부분을 만지면 이 부분이 흔들리면서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고 이 때 발생한 전기적인 쇼트가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전자기판이나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비디오 카드의 경우 모니터와 연결되는 단자가 풀리거나 흔들림으로 인해 확장 슬롯에 꽃혀있는 기판 부분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럴때는 이 기판을 떼어내서 접촉단면을 면수건 등으로 깨긋하게 닦아주고 재 설치해 보면 별이상 없이 잘돌아 가는 경우도 있다.  

 컴퓨터 유저라면 이 정도의 응급처치술은 알아 두는 것도 좋을 듯 하다. 혹, 더 생각나는 것이 있다면 다시 한번 더 정리 하기로 하고 오늘은 이 정도로 마칠까 한다. 벌써 한 해가 저물어 간다. 방문객 여러분들도 한 해를 정리하는 뜻깊은 시간들 되시기 바란다.  
  
트랙백   |  댓글   |
 이전  1   다음 

최근댓글
최근트랙백
fotowall :: ncloud RSS Feeds today :    yesterday :
total :